한국수산자원공단

한국수산자원공단

모바일메뉴보기
HOME > 사업소개 > 수산종자 자원관리 > 유전적 관리 강화

방류종자인증제

자연산 어미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평가 및 교배지침 수립

어미와 방류용 종자의 친자확인을 통한 방류종자인증 및 인증서 발급

자연산 어미와 방류종자의 유전정보 DB구축

방류종인증제 이렇게 관리하세요(지자체용) 다운로드 받기
방류종인증제 이렇게 신청하세요(어업인용) 다운로드 받기

방류종자인증제 건강한 종자의 방류로 건강한 바다를 지켜갑니다. 방류종자인증제란?

양식용 종자와 방류용 종자를 구분하여 건강한 수산종자를 방류할 수 있도록 인증해 주는 제도입니다.
시행일자 : 2015.11.04 부터
인증대상 품종 : 넙치

유전적 열성화 우려 품종인 넙치는 공단에서 자연산 어미를 수집하여 유전적 다양성이 확보된 수정란을 민간에 보급하고, 민간에서 생산된 종자와 어미의 친자감별을 통해 인증된 종자만을 방류합니다.

방류종자인증제의 기대효과

방류종자인증제의 기대효과 1. 유전적 다양성이 확보된 수산종자의 방류 : 인증된 종자만을 방류함에 따라 유전적 다양성이 확보된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어 갑니다.

방류종자인증제의 기대효과 2. 건강한 생태계 복원 : 유전적으로 다양한 종자 방류는 다양한 집단을 만들고, 다양한 집단이 모여 환경변화에도 견딜 수 있는 건강한 생태계가 만들어 집니다.

방류종자인증제의 기대효과 3. 지속적으로 이용 가능한 수산자원의 증대 : 건강한 생태계의 집단들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번식을 통해 우리에게 먹거리를 공급해 줄 수 있습니다. 무분별한 남획을 방지하는 노력은 필수 조건입니다.

방류종자인증제의 기대효과 4. 수산자원의 생물다양성 유지 : 유전적으로 다양성이 확보된 | 개체를 자연에 방류함으로써 생물 다양성 유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방류종자인증제의 기대효과 5. 수산종자의 유전정보 DB구축 : 방류 종자의 유전정보는 DB화 되어 건강한 생태계를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방류종자인증제의 기대효과 6. 수산종자에 대한 주권 확보 : 방류종자인증제로 구축된 유전정보 DB는 수산 종자에 대한 주권 확보로 이어질 것입니다.

방류종자인증제 추진 절차
1. 자연산 어미 수집 관리 : 공단 자체 수행 자연산 어미 유전정보 DB 구축 (자연산 수집 · 전자칩 삽입 유전정보 이용, 교배지침 수립)
2. 수정란 생산 · 보급 : 공단(FIRA) (어미 사육관리 · 수정란생산 보급)
3. 종자생산 : 민간업체 종자생산 (수정란 수령 · 종자생산)
4. 친자감별 및 인증 : 인증기관(공단) 친자감별 및 다양성 검사
5. 종자방류 : 지자체 등 매입 방류 (인증된 종자만 방류)

지자체 보유어미 유전적 관리

참돔, 말쥐치, 참조기, 자바리 등

지자체 보유 어미의 유전적 다양성 컨설팅 및 관리

지자체와 공동 노력을 통한 신속한 생태계 다양성 회복

어미 유전정보 분석 및 컨설팅(공단(FIRA)) :  유전적 다양성 평가 및 컨설팅 - 어미 유전자 분석, 유전적 다양성 평가 → 자연산 어미 수집 · 관리(지자체 연구소) : 자연산 어미 수집 및 개체관리 - 자연산 수집, 전자칩 삽입 → 어미 유전정보분석 및 컨설팅(공단(FIRA)) : 유전정보 DB 및 교배지침 작성 - 유전정보 분석, 교배지침 작성 → 수정란 생산 및 보급(지자체 연구소) : 다양성이 확보된 수정란 보급 - 어미 사육관리, 수정란 생산·보급 → 종자생산(민간업체 종자생산) : 건강한 종자 생산 - 수정란 수정, 종자생산 → 친자확인을 통한 이력조사(공단(FIRA)) : 유전정보 이용 친자확인 - 친자확인, 유전정보 분석 → 종자방류(지자체 등 매입방류) : 이력확인 가능 종자 매입방류 - 건강 종자 방류, 종자 이력확인 → 사후관리(공단(FIRA)) : 유전정보 모니터링 및 효과조사 - 효과조사, 재포획조사 → 환류(해수부, 지자체, 공단) : 환류를 통한 방류사업 개선 강원도 수산자원연구원,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 인천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 충청북도 내수면연구소, 충청남도 수산연구소, 전라북도 수산기술연구소,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 경상북도 수산자원개발연구소, 경상남도 수산자원연구소, 부산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방류종자 생산용 어미관리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저하 위험 점검 흐름도

어미의 개체수와 유래를 파악하고 있다. 예> 자연산 어미만 종묘생산에 이용하고 있다. 
          자연산 어미만 종묘생산에 이용하고 있다. 예> 매년 어미를 교환해주고 있다. 아니요> 자연산 어미를 추가로 수진할 예정이다.
          매년 어미를 교환해주고 있다. 예> 자연산란을 시키고 있다. 아니요> 자연산 어미를 추가로 수진할 예정이다.
          자연산 어미를 추가로 수진할 예정이다. 예> 자연산란을 시키고 있다. 아니요> 개체간의 혈연관계를 파악하고 있다.
          자연산란을 시키고 있다. 예> 다회채란을 하고 있다. 아니요> 개체간의 혈연관계를 파악하고 있다.
          개체간의 혈연관계를 파악하고 있다. 예> 유전적 다양성 확보를 위해 교배지침을 수립하고 있다. 아니요> 유전적 다양성 저하 위험 높음.
          다회채란을 하고 있다. 예> 산란한 개체수를 파악하고 있다. 아니요> 유전적 다양성 저하 위험 중간.
          유전적 다양성 확보를 위해 교배지침을 수립하고 있다. 예> 어미의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고 있다. 아니요> 유전적 다양성 저하 위험 높음.
          산란한 개체수를 파악하고 있다. 아니요> 유전적 다양성 저하 위험 중간.
          어미의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고 있다. 예> 유전적 다양성 저하 위험 중간. 아니요> 유전적 다양성 저하 위험 중간.
          출처: 일본수산청

방류체제에 대한 유전적 교란 위험 점검 흐름도

어미는 방류해역의 자연산이다 예> 방류효과를 파악하고 있다. 아니요> 문헌 등으로 대상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알고 있다.
          방류효과를 파악하고 있다. 예> 자연해역의 유전적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아니요> 어미나 종자의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고 있다.
          문헌 등으로 대상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알고 있다. 예> 방류효과를 파악하고 있다. 아니요> 유전적 교란 위험 높음.
          자연해역의 유전적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예> 유전적 교란 위험 낮음. 아니요> 유전적 교한 위험 중간.
          어미나 종자의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고 있다. 예> 자연해역의 유전적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아니요> 유전적 교란 위험 높음.
          출처: 일본수산청

유전적 다양성 모니터링

자연집단과 방류집단의 시료수집, 외부형질 측정 및 유전자 분석

자연집단과 방류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비교·분석을 통한 건강도 평가

방류품종의 자연집단과 방류종자집단 유전정보 DB 구축 및 정책자료 제공
 

방류품종 유전적 다양성 모니터링이란? 생태계 건강성을 회복하고 건강한 수산자원을 증대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유전적 다양성 모니터링 기대효과 - 수산생물의 생물 다양성 보전, 수산종자에 대한 주권 확보, 지속적으로 이용 가능한 수산자원의 증대, 방류품종 유전정보 DB 구축, 정책 자료 제공 및 반영. 해양수산부 FIRA 한국수산자원공단 유전적 다양성 모니터링 품종(12품종) : 상업적 가치 - 넙치, 조피볼락, 대구, 해삼, 참돔, 낙지, 전복/ 국가 정책 - 연어, 명태/ 방류 비중 - 대하, 말쥐치, 꽃게/ 유전적 다양성 모니터링 수행해역 : 자연집단 시료 채취(동해, 서해, 남해, 제주)  넙치·전복해삼 - 10개소(해역별 3개소, 제주)/ 조피볼락 - 9개소(해역별 3개소)/ 참돔·꽃게 - 7개소(어획가능 지역)/ 연어·낙지·대하 - 6개소(어획가능 지역)/ 말쥐치 - 5개소(동·서해 각 1개소, 남해 3개소)/ 명태 - 동해/ 대구 - 5개소(동해 3개소, 서·남해 각 1개소)/ 유전적 다양성 모니터링 수행단계 : 1 해역별 자연 집단 채취 및 방류종자 시료 접수, 2 외부형질 측정 및 근육 채취, 3 유전자분석 실험(DNA 추출 -> DNA 증폭 -> 유전자형 분석), 4 분석데이터 결과 정리 및 집단유전학적 통계분석, 5 유전학적 집단 구조 분석 및 유전적 다양성 평가/ 유전적 다양성 분석 결과 : 방류종자의 유전적 다양성 자연집단의 85% 이상 -> 열성화 단계 : 양호, 방류품종 : 넙치, 조피볼락, 해삼, 낙지, 대하, 연어/ 방류종자의 유전적 다양성 자연집단의 70~85% 미만 -> 열성화 단계 : 의심, 방류품종 : 전복, 말쥐치/ 방류종자의 유전적 다양성 자연집단의 70% 미만 -> 열성화 단계 : 우려, 방류품종 : 꽃게, 명태, 참돔/ 유전적 다양성 분석용 방류종자 시료 제출 시 유의사항 : 지자체에서는 한국수산자원공단의 분석 계획에 따라 요청이 있을 경우, 방류종자의 매입방류 후 넙치, 조피볼락, 전복, 해삼, 참돔, 꽃게 6품종에 대해 시료를 50개체 이상 채취하여 94% 이상의 알코올에 고정 후 공단(본사 종자관리팀)에 제출하여야 함(근거 : 수산종자관리 사업 지침 19조 7항) ※ 2020년도부터 수산종자관리사업 지침이 개정됨에 따라, 공단에서 요청한 경우에 한해 지침의 <별첨 14>를 공문으로 송부하고 시료는 우편으로 제출
만족도 평가
콘텐츠 담당부서: 생명자원실 | 문의전화: 051-740-2588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