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기구, 해조류의 신규 탄소흡수원 산입 합의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난 10월 27일(월)부터 31일(금)까지 페루 리마에서 열린 제63차 총회에서 해조류의 신규 탄소흡수원 산입 개정을 합의하고 탄소흡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 보고서를 2027년도 말까지 작성한다고 밝혔다.
	 
	  지난 2월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제62차 IPCC 총회에서 신규 탄소흡수원 후보군 해조류의 블루카본 인정에 대한 다양한 국가(일본, 칠레, 영국 등)의 지지를 확보하였으며, 이번 총회에서 방법론 보고서 개요에 포함되는 성과로 이어졌다.
	 
	 해조류는 국제사회에서 블루카본으로 인정하는 핵심 기준 6가지 중 IPCC 인증을 제외한 5가지를 충족하고 있는 유력 후보군으로 신규 인정이 임박한 상황이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해조류의 블루카본 인정을 위한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하였다.
	 
	  한국수산자원공단(이사장 김종덕)은 지난 제62차, 제63차 IPCC 총회에 공단 관계자를 파견하여 해조류 블루카본 인정과 관련된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하였다. 또한 해조류의 블루카본 IPCC 국제인증을 위해 지난 2019년부터 현재까지 포항공과대학교, 국립군산대학교 및 경북대학교 연구진과 함께 바다숲 조성해역 내 탄소흡수량을 산정하고 탄소흡수력 측정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한국수산자원공단은 해조류 탄소흡수력 측정 방법론이 포함될 예정인 이산화탄소 제거, 탄소 포집·활용 및 저장 방법론 보고서 작성(CDR/CCUS)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해양탄소 기반과 해조류 군집 기반 탄소흡수력 측정 방법론을 마련하였으며, 각 측정 방법에 따른 탄소흡수량을 산출*하였고, 추가적인 과학적 근거자료를 축적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 바다숲 조성 1㎢ 당 탄소흡수량: 해양탄소기반(연간 337톤), 해조류 군집 기반(연간 369톤)
	 
	  한국수산자원공단 김종덕 이사장은 “IPCC의 해조류 신규 탄소흡수원 산입 합의에 따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탄소중립 국가 정책 달성에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향후 공단은 바다숲 사업을 중심으로 해조류 탄소흡수력 측정 방법론을 구체화하여 우리의 방법론이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한국수산자원공단은 바다숲(해조류)을 활용한 신규 탄소흡수원 시범사업(탄소거래사업)을 어촌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정부의 탄소 배출권 거래시장의 정식 도입‧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